공동 인증서나 금융인증서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은행에서 인터넷뱅킹을 가입하고 보안매체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보안매체는 크게 보안카드와 OTP가 있습니다. 실물 OTP는 기계에 따라 발급 수수료가 다릅니다. OTP 발급 수수료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농협은행 실물 OTP 발급 수수료
농협은행이나 농협에서 실물 OTP 발급이 가능합니다. OTP는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기로 보안매체 중에 한 가지입니다. 버튼을 누르면 비밀번호가 생성되고 일정 기간이 지나면 비밀번호가 바뀌기 때문에 매우 안전한 보안장치입니다. 농협에서 발급 가능한 실물 OTP는 USB 모양의 OTP, 카드형 OTP, 미니카드형 OTP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많이 발급하는 USB 모양의 OTP는 발급 수수료 5천 원입니다. 카드형 OTP는 1만 원이고, 미니카드형 OTP는 7천 원입니다. 농협에서는 우수고객에게는 OTP 발급 수수료를 받지 않는데요. USB모양의 OTP는 농협의 우수고객 등급 중 그린 등급 이상이면 최초 발급 시 수수료가 면제됩니다. 사용하다가 유효기간이 남아있는데도 불구하고 배터리 문제가 발생하거나 오류 작동된다면 무료로 재발급도 가능합니다.
카드형 OTP는 신용카드 크기와 동일합니다. 따라서 지갑이나 휴대전화 뒷부분에 들어갑니다. 휴대성이 편리한 만큼 발급 수수료가 1만 원으로 비쌉니다. 농협은행의 VIP 등급 중 골드 등급 이상인 경우에만 카드형 OTP 발급 수수료가 면제됩니다. 미니카드형 OTP는 7천 원으로 신용카드 크기는 아니고, 작은 지우개만 한 사이즈입니다. 고리로 열쇠에 달고 다니기에는 편하나 카드처럼 얇고, 크기는 작아 분실 위험이 있습니다. 미니카드형 OTP는 그린등급 이상이면 발급 수수료를 면제받을 수 있습니다.
은행 보안매체에 따른 한도
은행에서는 보안매체에 따라 인터넷뱅킹 및 스마트뱅킹 한도를 제한하고 있습니다. 가장 많은 사람들이 소지하고 있는 보안카드의 경우에는 한도가 가장 적습니다. 은행마다 차이는 있는데요. 농협에서 보안카드로 이체를 한다면 1회 최대 1천만 원, 1일 최대 1천만 원까지 이체가 가능합니다.
OTP의 경우에는 실물 OTP는 1회 1억 원. 하루 5억 원으로 설정 가능합니다. 즉 1억 원씩 5억 원까지 송금이 가능합니다. 만약 이보다 더 많은 금액을 한 번에 이체하고 싶다면 은행에 방문하여 이체한도 추가 변경을 진행하셔야 합니다. 실물 OTP는 일단 발급받으면 다른 은행 및 증권사에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농협은행에서 발급받은 OTP를 이용하여 신한은행이나 삼성증권에다가 OTP를 등록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OTP의 경우에는 1회 1천만 원, 하루 5천만 원으로 설정 가능합니다. 쉽게 1천만 원씩 5번을 이체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OTP의 장점은 스마트폰에 저장해놓는 것이기 때문에 분실 위험도 없고, OTP가 없어서 이체를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다만 모바일 OTP는 다른 은행과 공유해서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올원 뱅크 OTP 없이 1억 5천만 원 이체 가능
농협은행 및 농협에는 총 3가지의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NH뱅킹, 올원 뱅크, 콕 뱅크입니다. NH뱅킹의 경우 간편 뱅킹을 등록하면 OTP 없이도 5백만 원까지는 이체가 가능합니다. 지역농협 어플인 콕 뱅크는 OTP 없이도 3백만 원까지 가능합니다. 농협은행 어플인 올원 뱅크는 가입 시 기본 5백만 원까지 이체가 가능한데요. 한도를 추가로 증액할 수 있습니다. 올원 뱅크의 나의 메뉴에 들어가 송금한도를 누르면 올원 패스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올원 패스를 발급받으면 이체한도를 1회 5천만 원 하루 1억 5천만 원까지 증액이 가능합니다. OTP가 없어도 이체가 되니 가장 편하게 고액을 송금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지금까지 농협은행 실물 OTP 발급 수수료 및 보안매체에 따른 이체한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OTP는 공동 인증서를 발급하기 위해서 필요하지만, 아주 큰 금액을 이체하는 게 아니라면 굳이 발급할 필요는 없습니다. 농협을 거래하는 고객이라면 올원 뱅크를 설치해서 OTP 없이도 1억 5천만 원까지 송금하세요.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정대상지역 해제 지역 22년 9월 26일 (0) | 2022.09.22 |
---|---|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지원 8가지 (0) | 2022.09.21 |
어린이집 퇴직연금 수수료 50% 감면혜택 (0) | 2022.09.19 |
퇴직금 압류금지 통장 및 수령방법 (0) | 2022.09.07 |
2022년 투기과열지구 및 조정대상지역 정리 (0) | 2022.08.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