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국민은행 청년희망적금가입 및 이자많이 받는 법

by 구지뱅 2022. 3. 1.

국민은행 청년희망적금 가입방법 및 이자 많이 받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청년희망적금은 국민은행에 방문하거나 KB국민은행 스타뱅킹 앱에서 가입이 가능합니다. 가입 자격은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이며 전전 연도 소득이 3,600만 원 이하이면 가입이 가능합니다. 2022년 7월 현재 판매 중단 상태입니다.

국민은행 청년희망적금에 관한 그림파일
KB국민은행청년희망적금

 

국민은행 청년희망적금 최대 6%

 

국민은행에서 청년희망적금에 가입하면 기본이율 5%에다가 우대이율 1%를 받을 수 있습니다. 기본이율은 가입만 하면 받을 수 있고, 우대이율은 우대조건을 충족해야 가능합니다. 우대금리는 급여이체를 6개월 이상할 경우 0.5%, 신규일 기준 예적금 상품을 보유하지 않으면 0.5%, 신규일 포함 적금으로 자동이체를 6개월 이상하면 0.3%의 금리를 받습니다. 우대금리 조건을 모두 충족하면 1.3%이지만 최대 1%만 금리를 더 받을 수 있습니다.

 

 

적금 이자 많이 받는 방법

 

청년 우대적금의 이율이 다 똑같은데 이자도 똑같은 게 아닌가 하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적금은 납입 날짜에 따라 이자를 주기 때문에 적금을 매일 1일에 넣으면 이자를 더 받게 됩니다. 자동이체를 매월 1일로 한 사람과 매월 30일로 한 사람은 한 달 이자가 차이가 나게 됩니다. 따라서 매월 1일에 자동이체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말일에 자동이체를 등록할 경우 말일이 주말인 경우 이체가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 적립이 안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서 가능하면 적금의 경우 말일은 피하는 게 좋습니다.

적금이자 최대로 받는방법으로 매월1일 50만원씩 이체가 적혀있는 그림파일
자동이체 설정방법 매월1일 50만원씩

 

저축장려금 최대 36만원 받는 방법

 

저축장려금도 모든 사람에게 동일하게 36만 원을 주는 것이 아닙니다. 저축장려금은 납입원금에 따라서 지급하게 됩니다. 가입일로부터 1년까지는 납입원금의 2% 이자를 주어 최대 12만 원을 줍니다. 2년 차에는 납입원금의 4%를 주게 되면서 최대 24만 원을 줍니다. 그래서 최대 36만 원을 받을 수 있는데요. 납입원금에 대한 이자를 주기 때문에 납입원금이 많지 않다면 저축장려금도 줄어들 수밖에 없습니다. 즉 저축장려금을 최대로 받기 위해서는 매달 50만 원씩 통장에 입금해야 합니다. 저축장려금은 중도해지 시에는 받을 수 없습니다.

 


지금까지 국민은행 청년희망적금 이자 많이 받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렸습니다. 한 줄로 정리해보자면 "적금통장의 자동이체일을 매월 1일로 정하고 금액은 매월 50만 원씩 이체" 하면 됩니다. 힘들게 가입한 만큼 꼭 많은 이자를 받으면 좋겠네요. 비과세 상품이어서 2년이 지나면 이자만 100만 원 정도를 받을 수 있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댓글